KLEVA
한국어
Search
K
Comment on page

KLEVA 토큰

프로토콜의 가치를 반영하는 거버넌스 토큰

KLEVA 토큰은 프로토콜의 성과를 반영하도록 설계되었습니다.
  • 레버리지 투자의 자동 복리 예치 수수료의 33.3%는 KLEVA 토큰 예치자에게 배분됩니다.
  • 그 외 프로토콜에서 발생하는 수수료의 일정 부분은 다음과 같이 KLEVA 토큰 바이백&소각에 활용됩니다. KLEVA는 DEX의 유동성을 활용하기 때문에 연동 DEX가 활성화될수록 더 큰 수익을 창출할 수 있으며 이렇게 증가하는 수익의 수수료는 KLEVA 토큰 바이백&소각에 적극 활용됩니다.
    • 대여자 이자수익 수수료의 52.6%
    • 레버리지 투자 운용 수익 자동 복리 예치 수수료의 33.3%
    • 청산 수수료 100%
    * 바이백&소각 재원의 30% (바이백 진행 시점 펀드 내 누적 금액의 30%)는 악성 부채 등의 대응을 위해 보존됩니다. 레버리지 투자 운용 수익의 10%를 재원으로 KLEVA 토큰으로 스왑하여 전송된 수량은 30%의 보존 없이 모두 소각됩니다.

발행

  • 총 발행 예정량: 168,192,000
  • 슬라이딩 (Sliding) 모델: 블록 당 발행되는 KLEVA 토큰이 매년 (약 31,557,600 블록마다) 25%씩 지속 감소
  • 현행 (블록넘버: 112,286,799 이후) 일간 발행량: 86,400 KLEVA 토큰
  • 지속가능성: KLEVA는 최초 기획 시점부터 장기 지속 가능성을 최우선으로 두고 설계됐으며 KLEVA Token이 비트코인처럼 오랜 기간 동안 발행될 수 있는 발행 구조를 구성했습니다.

분배

  • 75% (프로토콜 이용자): KLEVA 서비스 이용 (현재는 스테이킹과 자산 대여시)에게 지급됩니다.
  • 15% (개발펀드): 프로토콜 개발 및 안정화 등 프로토콜 운영 및 유지 보수 용도입니다.
  • 10% (에코펀드): 전략적 파트너 프로젝트 확보, 에어드랍, 머니레고 확장, 프로토콜 서비스 지원, 이벤트 등 KLEVA 생태계의 전반적인 확장 및 향상 그리고 지원을 위해 사용됩니다.

거버넌스

KLEVA 거버넌스가 활성화되면 거버넌스 투표에 의해 KLEVA 토큰의 발행 구조가 변경 및 결정될 수 있습니다. 참여자들은 기존의 슬라이딩 모델을 유지하거나 혹은 KLEVA 발전에 가장 적합한 방향으로 발행 구조를 수정 및 구현할 수 있습니다. 거버넌스에 대한 자세한 사항은 추후 업데이트될 예정입니다.